한반도 평화법안

한반도 평화법안, 美 하원서 세 번째 재발의

Share your love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촉구…찬반 논란 여전

미국 연방 하원에서 한국전쟁의 공식적인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한반도 평화법안’이 다시 발의됐다. 이번 법안은 민주당 브래드 셔먼 하원의원(Rep. Sherman, Brad D-CA-32)이 주도했으며, 2021년과 2023년에 이어 세 번째로 제출된 것이다. 셔먼 의원은 2월 26일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안 발의 사실을 알렸다. 그는 “이 법안은 신뢰 구축을 위한 첫 단계”라며, “1953년 휴전협정 이후 70년 만에 전쟁 상태를 공식적으로 끝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2021 H.R.3446 –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ct
  • 2023 H.R.1369 –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ct
  • 2025 H.R.1841 – To review current restrictions on travel to North Korea, call for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and for other purposes.

한반도 평화법안은 미국 국무부가 한국전쟁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기 위한 평화협정을 추진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국무부는 북한 및 한국과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180일 이내에 구체적인 로드맵을 의회에 제출해야 한다. 또한, 미국과 북한 간 연락사무소 설치 협상과 대북 여행금지 조치의 전면 재검토도 포함됐다.

영상 요약

북한에 대한 양보가 아닌 신뢰 구축의 시작
셔먼 의원은 이번 법안이 북한에 대한 양보가 아니라, 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신뢰 구축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평화법은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고, 대화와 협력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 해결 촉구
법안은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도 강조하고 있다. 셔먼 의원은 이산가족들이 서로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대면 상봉이 어려운 경우 화상 통화를 통해서라도 가족 간의 재회를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는 이산가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당적 지지와 역사적 맥락
이번 법안은 초당적 지지를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33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셔먼 의원은 더 많은 동료 의원들이 이 법안에 동참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한국의 역사적 순간들을 언급하며, 과거의 교훈을 통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햇볕정책과 한국 독립운동과 같은 중요한 역사적 사례들이 이번 법안의 배경으로 언급되었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글로벌 외교의 중요성
법안 지지자들은 미국, 한국, 북한 간의 외교와 협력이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셔먼 의원은 이번 법안이 북한에 대한 양보가 아니라며, “모든 갈등을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평화를 향한 분위기 전환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법안 발의에는 민주당 주디 추, 한국계 데이브 민 의원을 포함해 총 33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법안 발의 이후 찬반 논란이 뜨겁다. 지지자들은 이 법안이 한반도 평화 구축의 중요한 첫 단계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미주민주참여포럼 등 시민단체들은 법안 통과를 촉구하며, “전쟁 상태를 끝내는 것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반대 측에서는 법안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공화당 소속 영 김 하원의원은 “북한의 비핵화 없이 종전선언을 추진하는 것은 김정은 정권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 법안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정당화하고, 한미동맹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강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국 내 보수 성향 단체들도 법안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트루스포럼은 기자회견 현장에서 “정의 없는 평화는 없다”는 플래카드를 들고 항의하며, “이 법안은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독재 정권에 보상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법안은 진보 성향의 민주당 의원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공화당과 민주당 주류의 공감대를 얻지 못해 통과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앞선 두 차례 발의된 법안은 모두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자동 폐기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법안이 통과되더라도 북한의 실질적인 태도 변화 없이는 한반도 평화 구축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북핵 문제와 인권 문제 해결이 선행되지 않는 한, 종전선언이 상징적 조치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반도 평화법안은 전쟁 상태를 끝내고 평화 체제를 구축하려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둘러싼 정치적, 외교적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사랑을 나누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