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한국 최신 주요 뉴스

LISTER, 달에서 첫 드릴링 시작…달 내부 열 흐름 탐사 본격화
2025년 3월, 블루 고스트 착륙선이 달의 북동부 마레 크리시움(Mare Crisium)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이는 NASA의 상업적 달 탐사 서비스(CLPS)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된 미션으로,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달 탐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블루 고스트에는 10개의 NASA 과학 장비가 탑재됐으며, 약 14일 동안 달 표면에서 활동할 예정이다.
GO LISTER! This @NASA payload, developed by @TexasTech and @HB_Robotics, began drilling into the surface shortly after landing to determine the heat flow from the interior of the Moon. Get the latest #BGM1 updates here: https://t.co/ju2QMaax5R pic.twitter.com/lxLN863nrl
— Firefly Aerospace (@Firefly_Space) March 10, 2025
이번 탐사의 핵심 실험 중 하나인 LISTER 실험을 통해 달 내부의 열 흐름을 측정하며, 달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LISTER(Lunar Instrumentation for Subsurface Thermal Exploration with Rapidity)는 달 표면 아래 열 흐름을 측정하는 실험 장비다. 텍사스텍대학교(Texas Tech University)와 허니비 로보틱스(Honeybee Robotics)가 공동 개발했으며, 공압 드릴링 기술을 이용해 2~3미터 깊이까지 시추하여 열 전도율과 온도 변화를 분석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달이 형성된 이후 수십억 년 동안 어떻게 냉각되었는지를 연구하고, 달 내부 구조와 열역학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블루 고스트 착륙선은 NASA의 상업적 달 페이로드 서비스(CLP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과학 및 기술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달 표면에 10개의 첨단 페이로드를 전달했다.
이 장비들은 달의 환경을 연구하고, 착륙 기술을 개선하며, 향후 우주 탐사에 필요한 핵심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 표는 각 페이로드의 이름, 약어, 주요 목적, 그리고 개발 기관을 정리한 것이다.
| 이름 | 약어 | 목적 | 개발자 |
|---|---|---|---|
| Regolith Adherence Characterization | RAC | 다양한 재료와 코팅이 달 먼지를 얼마나 잘 제거하거나 방지하는지 측정 | NASA Ames 연구소 |
| Next Generation Lunar Retroreflector | NGLR |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레이저로 정밀 측정 | NASA Goddard 우주 비행 센터 |
| Lunar Environment Heliospheric X-ray Imager | LEXI |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작용을 X선 이미지로 캡처 | 보스턴 대학교, NASA, 존스 홉킨스 대학 |
| Lunar Magnetotelluric Sounder | LMS | 달 맨틀의 구조와 조성을 전자기장을 통해 조사 |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
| Lunar Instrumentation for Subsurface Thermal Exploration with Rapidity | LISTER | 달 내부의 열 흐름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 아래 2~3미터를 드릴링 | 텍사스 텍 대학교, 허니비 로보틱스 |
| Lunar PlanetVac | LPV | 달 표면의 레골리스(흙과 암석)를 샘플링하고 다른 장비로 전달 | 허니비 로보틱스 |
| Stereo Cameras for Lunar Plume Surface Studies | SCALPSS | 착륙 시 엔진 플룸이 달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스테레오 이미지로 기록 | NASA Langley 연구소 |
| Radiation Tolerant Computer | RadPC | 방사선으로 인한 오류를 복구할 수 있는 컴퓨터 성능 테스트 | 몬태나 주립대학교 |
| Electrodynamic Dust Shield | EDS | 전기력을 사용해 달 먼지를 제거하는 기술 시연 | NASA Kennedy 우주 센터 |
| Lunar GNSS Receiver Experiment | LuGRE | 달 표면에서 GPS 및 갈릴레오 신호를 추적하여 위치, 속도, 시간 데이터를 제공 |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 |
과거에도 달의 열 흐름을 연구하기 위한 탐사가 진행됐다. 아폴로 15, 16, 17호는 1970년대에 ALSEP(아폴로 달 표면 실험 패키지)를 이용해 열 흐름을 측정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드릴링 과정이 어렵고, 데이터의 정확성에도 한계가 있었다.
소련의 루나(Luna) 프로그램 또한 1970년대 로봇을 활용해 샘플을 채취하며, 달 표면 물질의 특성을 연구했다. 최근 중국의 창어(Chang’e) 탐사선도 달 표면과 내부 구조를 분석하는데 성공하며 기술적 발전을 이뤘다.
이번 LISTER 실험은 과거 탐사에서 사용된 드릴보다 더 깊이 탐사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정밀도도 향상되었다. 이는 향후 달 탐사의 기술적 진보와 과학적 연구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블루 고스트 착륙선과 LISTER 실험은 단순한 달 탐사를 넘어, 심우주 탐사를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이정표다.
NASA의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은 달을 인류의 심우주 탐사 전진기지로 활용하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며, 이를 위해 달의 자원 분포와 환경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 역시 다누리(KPLO) 탐사선을 통해 달 탐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독자적인 달 착륙선 및 로버 개발을 추진해 심우주 탐사에 기여할 계획이다.
블루 고스트 착륙선과 LISTER 실험은 달 탐사의 새로운 장을 열며, 과거 탐사와 비교했을 때 기술적 진보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는 인류의 심우주 탐사를 위한 기반이 될 것이며, 향후 지속적인 탐사와 기술 발전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