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한국 최신 주요 뉴스

중국, 미국 상품에 84% 보복 관세 부과하며 무역전쟁 심화
- 중국, 미국 상품에 84% 보복 관세 부과하며 무역전쟁 심화
- 트럼프 대통령의 104% 관세 정책에 대한 중국의 강경 대응
- 글로벌 경제 및 시장에 미치는 영향 우려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맞서 미국산 제품에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양국 간 무역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주의”를 명분으로 중국 제품에 104%의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대응으로,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이 우려된다. 중국 세관 당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이 “실수를 거듭하는 행위”이며 “일방주의, 보호무역주의, 경제적 횡포의 전형”이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미국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주요 교역국에 관세를 부과했다. 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지적 재산권 침해와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문제 삼으며 고율 관세를 부과해왔다.
이러한 미국의 움직임에 대해 중국은 “국제 무역 규칙을 위반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재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중국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다자간 무역 체제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표: 미중 무역 전쟁 관련 주요 지표
| 지표 | 내용 |
|---|---|
| 미국 대중국 무역 적자 | 2,950억 달러 (2024년) |
| 중국의 대미 수출액 | 4,400억 달러 (2024년) |
| 미국의 대중 수입액 | 1,450억 달러 (2024년) |
|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율 | 최대 104% |
| 중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율 | 최대 84% |
중국이 부과하는 84%의 관세는 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적용된다. 과거 사례를 보면, 농산물(콩), 에너지 제품(원유), 고급 전자 제품 등이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이미 국제 유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은 2018년부터 본격화되었으며, 양국은 상호 관세 부과, 미국 기업의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 등재, 희토류 수출 제한 등의 조치를 통해 갈등을 심화시켜왔다. 과거 미국은 중국의 불공정 무역 행위를 조사하는 ‘301조 조사’를 시행했고, 이에 중국은 미국산 대두, 쇠고기, 액화천연가스(LNG)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2025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상품에 104%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주의 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4월 4일 미국산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4월 9일에는 관세율을 84%로 인상했다. 중국 외교부는 “누구도 중국 인민의 정당한 발전 권리를 빼앗을 수 없다”고 경고했으며,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계속 강경 노선을 고수할 경우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무역 전쟁은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무역 긴장 고조로 인해 국제 유가가 급락하고, 주식 시장이 불안정해지는 등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관세 인상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실질 소득 감소를 초래하고, 기업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관세 타임라인
-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 “상호주의 관세” 정책 발표
- 2025년 4월 4일: 중국, 미국 상품에 34% 보복 관세 부과
- 2025년 4월 8일: 미국,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 84%로 인상
- 2025년 4월 9일: 중국, 미국 상품에 84% 보복 관세 부과 (4월 10일 발효)
미중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양국 경제는 물론 글로벌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무역 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고, 경제 성장률이 둔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은 유럽연합(EU),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미국의 무역 정책에 대응하고 있으며, 무역 전쟁이 중국 내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