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한국 최신 주요 뉴스

[속보] 한국 정부, 미얀마 지진에 200만 달러 긴급 지원 결정
3월 28일 발생한 강진 직후…생명 구조 위한 인도적 조치 취해져
외교부 “현지 상황 지속 모니터링…필요 시 추가 지원도 검토”
한국 정부가 미얀마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 피해에 대응해 2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긴급 제공하기로 했다. 지난 3월 28일, 미얀마 북부를 강타한 이번 지진은 주택과 도로 등 주요 기반시설에 큰 피해를 입히며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낳았다.
외교부는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지진 발생 직후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국제기구를 통한 2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신속히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원금은 의료, 식수, 임시 거처 제공 등 생명 구조에 직결되는 분야에 우선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지원은 한국 정부가 유엔 산하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와 협력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재난 초기단계인 만큼, 피해 지역 내 접근성과 필요 자원의 효율적 분배를 위해 현장 경험이 풍부한 기관들과의 연계가 핵심이 된다.
정부는 현재도 미얀마 전역의 피해 규모와 수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중이며, 상황이 악화될 경우 추가적인 구호 및 복구 지원도 검토할 예정이다.
미얀마는 지난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지속적인 정치적 불안과 경제난에 시달려 왔다. 이런 상황에서 발생한 지진은 이미 취약한 보건·복지 시스템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이번 지진은 미얀마 내 수십만 명의 생계에 직결된 문제로, 신속하고 투명한 국제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국제사회는 인도적 지원에 있어 정치적 배경을 초월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 정부 역시 이번 지원이 군정과 무관하게 실제 피해 주민들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국제기구 중심의 체계적 분배 방식을 택했다.
한국은 최근 수년간 인도적 외교 역량을 강화해 왔다. 2023년 튀르키예 대지진 당시 500만 달러 규모의 긴급 지원을 제공했고, 파키스탄 홍수, 필리핀 태풍 피해 등에도 꾸준히 구호 활동을 펼쳐 왔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재난 발생 시 초기 대응을 주도하는 국가로서의 위상을 점차 강화하고 있다.
미얀마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여진은 3월 29일에도 이어졌으며, 피해 지역 대부분은 여전히 전력과 통신이 차단된 상태다. 수도 네피도와 북부 사가잉 지역, 카친 주에서는 병원 수용 능력을 초과한 부상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로 붕괴와 산사태로 인해 외부 지원이 닿지 않는 마을도 수십 곳에 달한다.
미얀마 국민을 위한 국내 민간 차원의 모금 운동과 NGO들의 자발적 구호 활동도 시작됐다. 희망브리지, 굿네이버스, 월드비전 등 주요 단체들이 피해 복구를 위한 모금 페이지를 개설하고, 긴급 구호물자 준비에 나선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