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시기 맞춰 스미싱 급증 예상…”문자 속 링크는 100% 사기”

Share your love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를 앞두고 관련 스미싱 사기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고 10일 발표했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금융감독원 등 관계부처는 이날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나 카드사, 은행 등을 사칭해 소비쿠폰 지급 대상이나 금액 안내, 카드 사용 승인, 신청 등의 내용으로 문자 사기가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를 대량 전송한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해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수법이다.

특히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해 정부·카드사·지역화폐사는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URL·링크)가 포함된 문자나 SNS를 일절 발송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소비쿠폰 관련 문자에 링크가 있다면 100% 사기로 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식 신청 경로는 따로 있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정식으로 신청하려면 카드사 앱이나 웹사이트, 콜센터·ARS, 지역사랑상품권 앱·웹사이트 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하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 및 지방자치단체(주민센터)에서 대면 신청을 해야 한다.

정부는 비대면 신청 시 신청페이지에 스미싱 주의 안내문구를 포함하고, 디지털 취약계층인 어르신들을 위해 은행이나 주민센터에서 대면 신청할 때도 스미싱 주의 안내를 함께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7월 14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해 이용자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17개사)를 통해서도 스미싱 주의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계획이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에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안내 시 주의사항을 게시할 예정이어서 이용자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스미싱 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의심 문자 받으면 즉시 118 신고

만약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다면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해야 한다. 문자를 열람했더라도 문자 내 인터넷 주소를 절대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이용자들은 국민비서 사전 알림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국민비서·카드사·은행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SNS 안내 문자나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문자를 받은 경우 한 번 더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문자 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한 후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24시간 무료로 운영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118)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용문의는 ☎110번으로 하면 된다.

정부는 스미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해 스미싱 발생 및 신고 현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신고·접수된 스미싱 정보를 분석해 관련 악성 웹사이트를 즉시 차단하는 체계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피해 신고 접수 시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는 등 이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문자는 절대 클릭하지 말고,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악성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118센터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사랑을 나누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