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한국 최신 주요 뉴스

‘국민사서함’ 대통령이 국민 질문에 직접 답한다
-이재명 대통령, ‘국민사서함’ 개시…국민과의 직접 소통 본격화
-경제부터 외교·안보까지 전 분야 질문 접수…공감 높은 사안에 대통령 직접 응답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 의견을 국정에 적극 반영하기 위한 온라인 소통 창구 ‘국민사서함’을 공식 출범시켰다. 대통령실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 제도를 발표하며, 국민과의 소통을 핵심 국정 원칙으로 삼겠다는 대통령의 구상이 실현된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사서함’은 경제, 민생, 사회, 정치, 외교·안보 등 다양한 국정 분야에 대해 국민이 질문을 남기면 이를 대통령이 직접 확인하고, 공감대가 크거나 시급성이 높은 사안에 직접 답변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참여는 구글 폼을 통해 가능하며, 이름이나 닉네임, 연령대, 관심 분야를 선택한 뒤 질문을 작성하면 된다.

모든 질문은 대통령에게 보고되며, 대통령실은 이를 선별해 일정 기준에 따라 응답 여부를 결정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온 ‘국민 중심 국정 운영’의 실천적 장치로, 국민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겠다는 뜻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국민의 의견을 직접 듣고, 현장에서 정책의 실마리를 찾겠다”며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목소리를 국정의 출발점으로 삼고, 성실히 답변하겠다”고 밝혔다.
참여 과정에는 개인정보 수집 동의 절차가 포함된다. 수집 항목은 이름, 연령대, 질문 분야와 내용이며, 질문의 중복을 방지하고 응답 품질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다. 수집된 정보는 6개월간 보관 후 파기된다.
대통령실은 이 플랫폼을 일회성이 아닌 상시 소통 창구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국민 참여의 밀도를 높이고, 제출된 질문이 실질적인 정책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운영 체계도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조치는 이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강조해온 ‘현장 중심 소통’ 연장선에 있다. 최근 대통령은 민생 관련 현장 방문을 지속하고, 실시간 여론에 기반한 대응을 이어가는 모습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국민사서함’이 새로운 형태의 참여 정치 실험으로 평가된다. 특히 연령, 지역, 배경을 불문하고 누구나 질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 참여의 저변을 넓힐 수 있는 제도로 주목받는다.
이제 국민은 정책을 일방적으로 전달받는 수용자가 아닌, 질문하고 논의에 참여하는 동반자가 된다. 대통령이 직접 응답하는 이 새로운 소통 구조는 향후 국정 운영 방식에 의미 있는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